Box World
어제보다 나은 사람이 되기

걱정보단 실행을, 그러나 계획적으로

Box World 자세히보기
반응형

전체 글 74

[머신러닝 순한맛]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란?

당신이 두려워하는 일을 매일 하라 - 엘리너 루즈벨트 - 시작하며 10년 후에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꿀 단 하나의 기술을 꼽으라 하면 저는 '자율주행'이라고 답할 것입니다. 현재 IT 산업 전반적으로 자율주행 자동차 상용화를 위해 천문학적인 금액을 투자중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자율주행 기술 구현을 위해 핵심이 되는 기술이 바로 '컴퓨터 비전(Computer vision)'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컴퓨터 비전 분야에서 이미지 분석을 위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을 통해 딥러닝(Deep Learning)을 이해하고 공부하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https://box-world.tis..

[머신러닝 순한맛] 다변량 정규분포(Multivariate Gaussian Distribution) in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

혁신을 할 때는 모든 사람들이 당신을 미쳤다고 할 테니, 그들 말에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한다. - 래리 앨리슨 (Oracle ceo) - 시작하며 우리는 저번 포스팅을 통해 Anomaly Detection의 전반적인 이해를 마쳤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nomaly Detection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살펴보며, 이에 대한 해결책인 다변량 정규분포(Multivariate Gaussian Distribution)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들을 통해 Anomaly Detection을 이해하고 보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https://box-world.tistory.com/35 [머신러닝 순한맛]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이란? "기술에는 품위와 친절이 녹아..

[머신러닝 순한맛]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 vs Classification in Supervised Learning

실패에 대해 걱정하지 마라. 한번만 제대로 하면 된다. - 드류 휴스턴(Dropbox 공동 창업자) 시작하며 우리는 저번 포스팅에서 Anomaly Detection이란 무엇이며,이를 위한 알고리즘의 작동 원리까지 공부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nomaly Detection 알고리즘의 성능을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그리고 Anomaly Detection과 Supervised Learning의 차이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들을 통해 'Test / Cv data', 'Anomaly Detection'에 대해 이해하고 보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https://box-world.tistory.com/23 [머신러닝] 머신러닝 학습 시 고려해야할 것 : Test data와 Cv data란..

[머신러닝 순한맛] 이상 탐지(Anomaly Detection)이란?

"기술에는 품위와 친절이 녹아있어야 한다." - 팀 쿡 - 시작하며 여기 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는 인공지능을 만드는 개발자가 있습니다. 그 개발자는 우여곡절끝에 정확도 99.00%를 자랑하는 머신러닝 학습 모델을 만들어 냈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준으로 연간 암 발병률은 0.005%가 채 되지 않습니다. 열심히 만든 개발자에게는 99%도 겨우 만들어낸 훌륭한 모델이었으면 좋겠지만, 안타깝게도 이것으로 암을 조기에 발견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정확도인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존에 우리가 알던 분류(Classification)와는 다르게 100000개의 데이터 중에서 1개, 1000000000개 중에서 10개 꼴로 일어나는 것 같이 아주 극소수의 매우 작은 비율의 데이터 혹은 이상한(비정상적인) 데..

[머신러닝 순한맛]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이란? (2)

여기에서 실패는 하나의 옵션이다. 당신이 실패를 겪지 않았다면, 충분히 혁신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 엘론 머스크 - 시작하며 저번 포스팅에서 조금 어려울수도 있었던 PCA 알고리즘의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PCA 알고리즘으로 차원을 감소시킨 데이터의 재복원, 알고리즘의 장단점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PCA 알고리즘의 원리'를 이해하시고 공부하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https://box-world.tistory.com/33 [머신러닝 순한맛]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이란? ″성공의 핵심 요소는 인내심이다.” -Bill Gates- 시작하며 우리 저번 포스팅에서 Data Compression 또는 Dimentianality..

[머신러닝 순한맛]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알고리즘이란?

″성공의 핵심 요소는 인내심이다.” -Bill Gates- 시작하며 우리 저번 포스팅에서 Data Compression 또는 Dimentianality Reduction의 기본적인 원리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이러한 원리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차원을 줄이는 알고리즘인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lgorithm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한가지 유의할 점은 기존에 많은 분들이 PCA에 대해 다루실 때 수학적으로 접근하여 설명하는 부분이 저에게는 잘 와닿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저는 그보다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빠지는 개념은 없지만 최대한 풀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을 공부하고 보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https://box-worl..

[머신러닝 순한맛]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 차원 감소(Dimensionality Reduction) in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모두가 비슷한 생각을 한다는 것은 아무도 생각하고 있지 않다는 말이다" - 알버트 아인슈타인 시작하며 데이터 가공(Data Processing)은 머신러닝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중 하나로 이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머신러닝의 성능이 좌지우지되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연산 시간을 크게 줄이는 방법 중 하나로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 혹은 차원 감소(Dimensionality Reduction)에 대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Data Compression 머신러닝에서 데이터를 압축한다는 것은 고차원의 데이터를 저차원의 데이터로 축소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전체 연산량을 줄여서 최종적으로 학습 시간을 단축하는 것입니다. 이것이 왜 필요한 것일까요? 이는 바로 '차원의 저주(Curs..

[머신러닝 순한맛]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이란? : 최적화(Optimization)

시작하며 우리가 Supervised Learning에서 다양한 알고리즘을 다루면서 항상 했던 연산들 중 하나가 바로 Cost 최소화 즉 Cost 함수 최적화(optimization)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K-means 알고리즘의 Cost 함수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어떻게 최적화하는지에 대해 공부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들을 읽고 공부하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https://box-world.tistory.com/29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이란? : Clustering 시작하며 우리가 그동안 이전 포스팅에서 배웠던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SVM은 모두 지도학습(Supervised ..

[머신러닝 순한맛]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이란? : K-means algorithm

시작하며 저번 포스팅에서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의 기초 개념을 다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Unsupervised Learning의 원리를 알아보고 이것의 대표적인 알고리즘인 'K-means algorithm'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아래 포스팅을 보시고 공부하시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box-world.tistory.com/29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이란? : Clustering 시작하며 우리가 그동안 이전 포스팅에서 배웠던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SVM은 모두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즉 레이블(Label)이 있는 데이터에 대..

[머신러닝 순한맛]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이란? : Clustering

시작하며 우리가 그동안 이전 포스팅에서 배웠던 Linear Regression,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SVM은 모두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 즉 레이블(Label)이 있는 데이터에 대한 학습이었습니다. 이번 포스팅부터는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Un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이란 결과가 주어지지 않은 데이터(Unlabeled Data)에 대해 학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학습의 핵심은 군집화(Clustering)입니다. 다음 예시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우리가 그동안 배웠던 Supervised Learning은 위와 같이 x 혹은..

반응형